-
웹사이트에서 "오류 메세지를 표시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습니다"라는 메세지가 나올때서버 2019. 3. 23. 14:25
"오류 메세지를 표시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습니다. 서버의 에러로그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주십시오." 이 부분은 xe나 rymix의 php버전을 높였을때 보안관련 에러로 아래 메세지가 출력된다. 해결책. 웹사이트 폴더 상위 내 위치한 .htaccess 파일안에 맨 밑에 아래 두 문장을 넣어준다. PHP_VALUE error_reporting 6135PHP_FLAG display_errors ON 그러고 다시 사이트 접속하면 관련 에러가 뜨게 된다.이런 식의 서버 오류의 에러 로그는 취약한 부분이 노출되기 때문에, 문제가 해결 후에는 .htaccess에서 다시 해당 라인을 제거해두는 것이 좋다.
-
Powershell,WinSCP를 활용한 wowza서버 자동업로드 구성기개발 2019. 3. 21. 10:07
개요 회사에서 VOD서버를 새로 구축해야 하는 입장에 서게 되었다.wowza를 보니 스트리밍위주의 기능뿐이었다.녹화기능도 있긴한데 시간에 맞춰서 잘라주는 기능은 없었다. 와우자개발자문서를 보면서 와우자모듈과 와우자IDE로 java개발 해보려고 했는데 머리도 아프고 참고할 자료도 거의 없고 와우자서버에 스트리밍+녹화까지 넣으면 접속자들이 많이 몰렸을 때 서버에 무리도 올 것 같기도 하고 해서 다른 방법을 생각해보았다. 녹화기능은 이미 잘 개발된 반디캠을 구매해서 활용하고 나머지 부분만 코딩하는 것으로 구성했다. 작업내용 1. 반디캠으로 녹화하면 파일의 확장자가 '예약이름 2019-03-21 09-04-01-248.mp4' 이런식으로 형성된다.2. '예약이름 2019-03-21 09-04-01-248.mp4..
-
sketchbook5 게시판 상단 Home 버튼 없애기개발 2019. 2. 27. 14:27
XE나 Rymix를 사용하시는 분들은 스케치북5게시판을 많이들 사용하실 겁니다. 그런데 게시판을 만들어놓으면 꼭 상단에 Home라는 버튼이 생깁니다. 활용하실 분은 활용하시기도 하겠지만, 전 보기 싫어서 버튼을 제거 하려고 합니다. 해결법. 1. 이미지 보시면 Home버튼을 없애려고 합니다 2. 파일질라로 ftp접근하여 xe가 설치되어있는 폴더로 접근합니다. modules/board/skins/sketchbook5/_breadcrumb.html 파일을 다운받습니다. 3. 그리고 편집프로그램으로 파일을 열어서 봅니다. 2번째 줄이 Home가 나타나게 하는 코드입니다 이것을 주석처리해줍니다. 4. 주석처리를 하셔서 저장후 다시 그대로 덮어씌우기로 업로드 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다시 사이트로 가셔서 F5눌러보..
-
-
일러스트로 만다라 그리는 방법디자인 2019. 2. 26. 21:29
1. Ctrl+N을 눌러 새로운 캔버스를 만듭니다. 2. 세로로 길게 선을 그립니다. 3. 로테이트 툴을 클릭한 뒤 엔터키를 누릅니다. 앵글을 15도로 설정하고 카피 버튼을 클릭합니다. 무심코 OK 버튼을 눌렀다면 침착하게 엔터키를 눌러 다시 시도하면 됩니다. 걱정 마세요. 저도 그랬거든요. 4. Ctrl+D를 눌러 위와 같이 선을 그립니다. 5. Ctrl+A를 눌러 전체를 선택한 뒤 스트로크를 0.5pt로, 오퍼시티는 10%로 설정합니다. 가이드 선이기 때문에 잘 보이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눈이 침침해진 거 아니니 안구에 힘주지 마세요. 6. F7을 눌러 레이어창을 켭니다. 그리고 빨간색 네모가 그려진 버튼을 눌러 새로운 레이어를 만듭니다. 7. 셀렉션 툴(단축키:V)로 세로선을 클릭한 뒤 Shift키..
-
웹사이트 https로만 접근되게 하는 방법개발 2019. 2. 20. 11:11
그누보드에 SSL을 적용 시킨 뒤 http로 접속해도 https로 재연결 시키는 방법. 해결법. .htaccess파일을 만들어서 아래 내용을 넣고 웹업로드폴더 가장 상단에 넣으면 된다. RewriteEngine On RewriteBase / RewriteCond %{HTTPS} off RewriteRule (.*) https://%{HTTP_HOST}%{REQUEST_URI} [R=301,L] * 혹시 .htaccess파일이 이미 있다면 위 내용을 추가하면 된다.